티스토리 뷰

728x90

바이닐 레코드판을 아시나요? LP로도 알려진 바이닐 레코드는 수십 년 동안 음악 애호가들의 가슴에 특별한 자리를 차지해 왔습니다. 이 원형 디스크는 음악이 소비되고 경험되는 방식에 혁명을 일으켰으며, 오늘날에도 여전히 오디오 애호가들을 사로잡는 따뜻하고 풍부한 음질을 제공합니다. 바이닐 기원과 역사 그리고 바이닐 뜻에 대해서 정리해 보겠습니다.

그렇다면 이런 바이닐은 어디서 들어 볼 수 있나요? 처음이신 분들 또는 이제 막 관심 있으신 분들 직접 들어 보실 수 있는 곳 알려드리겠습니다.

<목차>

1. 바이닐 역사

2. 바이닐 생산국가

3. 바이닐 lp 직접 체험 가능 한 곳 (LP카페)

 

 

바이닐 뜻?

2020.08.28 - [Information] - Vinyl 바이닐, LP 뜻) 바이닐 구매하기 - 국내 사이트 추천 / 엔니오모리꼬네 한정반,콜미바이유어네임ost LP, Sing Street

 

바이닐 lp

1. 바이닐 역사

1) 바이닐 레코드의 시작
비닐 레코드의 이야기는 토마스 에디슨이 소리를 녹음하고 재생할 수 있는 초기 장치인 축음기를 발명한 19세기 후반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습니다. 하지만, 1940년대가 되어서야 폴리염화비닐(PVC)로 만들어진 비닐 레코드가 음악의 지배적인 형식이 되었습니다. 비닐 이전에는 셸락 레코드가 널리 사용되었지만 부서지기 쉽고 파손되기 쉬웠습니다. 비닐은 보다 내구성과 유연성이 뛰어난 대안을 제시하여 재생 시간이 길어지고 음질이 개선되었습니다. 이러한 재료의 획기적인 발전은 다가올 비닐 혁명의 발판을 마련했습니다.

 

2) 바이닐 레코드의 발전
LP의 바이닐 레코드의 이야기는 오디오 기술의 발전이 롱 플레이 레코드의 발전을 위한 길을 닦았던 20세기 초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습니다. 1948년, Columbia Records는 상업적으로 성공적인 최초의 LP 포맷을 선보였는데, 이 포맷은 마이크로 그루브와 분당 331/3회전(RPM)의 회전 속도를 특징으로 했습니다. 이 혁신은 셸락 레코드와 같은 이전 형식에 비해 더 긴 재생 시간과 우수한 음질을 허용했습니다. 폴리염화비닐(PVC)로 만든 비닐은 내구성과 소리를 충실히 재현할 수 있는 능력으로 인해 이러한 LP의 이상적인 재료로 떠올랐습니다. LP의 도입은 청취자들에게 더 몰입적이고 즐거운 음악 경험을 제공하면서 음악 산업의 전환점을 열었습니다.


3) 바이닐 레코드의 황금기
1950년대와 1960년대는 비닐 레코드의 황금기였습니다. 이 시기는 유통과 소비를 위해 비닐 레코드에 크게 의존했던 록앤롤, 재즈, 리듬 앤 블루스와 같은 다양한 음악 장르의 출현을 목격했습니다. 비닐의 인기는 엘비스 프레슬리, 비틀즈, 그리고 밥 딜런과 같은 예술가들이 그들의 상징적인 앨범을 이 형식으로 발표하면서 치솟았습니다. 레코드 플레이어와 턴테이블은 전 세계 가정에서 주식이 되었고 레코드 가게는 비닐 판매가 정점에 이르자 번창했습니다. 1970년대와 1980년대에는 스테레오 사운드와 혁신적인 앨범 커버 디자인이 도입되어 비닐 경험이 더욱 향상되었습니다.

4) 바이닐 레코드의 부활
CD와 같은 디지털 형식과 이후 스트리밍 서비스의 등장으로 비닐 레코드의 인기가 하락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이 아날로그 형식의 종말을 예측했지만, 모두가 놀랍게도, 비닐은 21세기에 놀라운 컴백을 했습니다. 2000년대 초반에 음악 애호가들과 수집가들 사이에서 비닐에 대한 관심이 되살아났습니다. 향수, 유형적인 음악 경험에 대한 열망, 그리고 비닐의 독특한 음질의 매력은 모두 이 부흥에 기여했습니다. 레코드 가게들이 다시 나타났고, 독립 레이블들은 새로운 앨범들을 비닐에 누르기 시작했습니다. 주요 예술가들도 증가하는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비닐로 특별판과 재발행을 출시하기 시작했습니다. 비닐 레코드는 과거의 유물에서 진정성의 상징과 음악적 열정의 표현으로 전환되었습니다.

 

2. 바이닐 생산 국가

바이닐 레코드 생산 어디서 하고 있나? 공장들이 많이 닫았다고 들었는데 다시 바이닐 레코드는 다시 황금기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독특한 음질, 앨범 아트웍, 그리고 레코드를 다루는 촉각적인 경험은 듣는 사람과 음악 사이에 대체할 수 없는 유대감을 만들었습니다. 디지털 포맷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비닐 레코드는 신세대 마니아들을 사로잡고 음악의 본질을 물리적이고 유형적인 형태로 보존하면서 그럭저럭 버텨왔습니다. 수요가 적어지던 과거 회사들이 많이 문을 닫았고, 최근 몇 년 동안 비닐 레코드의 부활 이후 바이닐 레코드 생산이 눈에 띄게 증가했습니다. 유명 가수들도 한정판으로 출시하면서 바이닐 레코드가 여전히 생산되고 있는 전 세계 여러 곳이 있습니다. 생산 시설의 정확한 수는 다를 수 있지만 바이닐 레코드 생산으로 알려진 몇 가지 주요 국가도 함께 찾아봤습니다.

 

(1) 미국: 캘리포니아, 오하이오, 내슈빌 등의 시설을 포함하여 전국에 다양한 압착 공장이 있습니다.
(2) 영국: 여러 프레스 공장이 가동 중으로 특히 런던에는 주요 레이블과 독립 아티스트 모두에게 적합한 여러 시설이 있습니다.
(3) 독일: 비닐 레코드 제조의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습니다. 베를린 및 라이프치히와 같은 도시에는 국내 및 국제 시장 모두에 적합한 압착 공장이 있습니다.
(4) 체코: 프라하와 다른 도시에 기반을 둔 여러 압착 공장을 통해 레코드판 생산의 허브로 부상했습니다. 이러한 시설은 세계 여러 지역의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5) 일본: 고품질 비닐 레코드를 생산한 풍부한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많은 일본 프레스 공장이 수십 년 동안 운영되어 왔으며 국내 및 국제 시장 모두에 계속 공급하고 있습니다.

 

3. 바이닐 직접 체험 가능 한 곳 (Lp카페)

바이닐 레코드가 처음이신가요? 청음 해볼 수 있는 LP 레코드 가게를 소개드립니다.

 

1) 현대카드 뮤직 라이브러리

현대 카드만 있으면 입장 무료

현대카드 뮤직 라이브러리는 제가 참 좋아해서 가끔씩 가고 있습니다.

참고로 저도 집에 턴테이블이 있지만 없는 LP 들어보러 갑니다. 진짜 도서관처럼 이용하고 있어요.

현대카드 뮤직 라이브러리
바로 가기

2) 바이닐 성수

위치는 뚝썸역 1번 출구 바로 앞이고, 각 자리마다 개별 턴테이블과 헤드셋이 구비되어 있어 음악을 즐길 수 있는 문화 공간입니다.

무료 음료권이 포함 되어 있으며 입장료는 18,000입니다.

연중무휴로 11:00-24:00까지 운영합니다.

먼저 1번 무료로 이용하실 곳부터 가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